31 0 0 0 0 0 4개월전 0

세계의 명연설-미국편 3 _에머슨, 링컨, 마크 트웨인

에머슨 편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문필가인 랄프 찰도 에머슨이 1859년 1월 25일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보스턴 번즈클럽에서 열린, 스코를랜드 시인인 번즈의 탄생 백주년 기념 추도식에시 행한 연설이다. 링컨 편은 ‘위대한 해방자’의 일생은 모든 미국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정규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링컨은 인기 있는 시골의 법률가, 일리노이주 의회의 의원, 그리고 나중에는 연방 의회의 의원이 되었다. 1858년 그는 상원의원에 출마하여 그의 경쟁자인 스티본 더글러스와 논쟁을 벌였다. 이 선거전에서 노예제도를 강하게 비난한 링컨은 북부의 관심을끌었으며, 그 결과 그는 1860년 신생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게 되었다. 그의 대통령 당선, 반역적인 남부에 대한 전쟁 지휘, ..
에머슨 편은 미국의 철학자이자 문필가인 랄프 찰도 에머슨이 1859년 1월 25일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보스턴 번즈클럽에서 열린, 스코를랜드 시인인 번즈의 탄생 백주년 기념 추도식에시 행한 연설이다.

링컨 편은 ‘위대한 해방자’의 일생은 모든 미국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정규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링컨은 인기 있는 시골의 법률가, 일리노이주 의회의 의원, 그리고 나중에는 연방 의회의 의원이 되었다. 1858년 그는 상원의원에 출마하여 그의 경쟁자인 스티본 더글러스와 논쟁을 벌였다. 이 선거전에서 노예제도를 강하게 비난한 링컨은 북부의 관심을끌었으며, 그 결과 그는 1860년 신생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게 되었다. 그의 대통령 당선, 반역적인 남부에 대한 전쟁 지휘, 노예 해방, 그리고 연방군의 승리에 뒤이은 그의 암살 등은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이다. 1861년 2월 11일에 행한 감동적인 <스프링필드에서의 고벌 언설>, 1863년 11월 19일 펜실바니아주 게티즈버그에서 행한 주옥 같은 웅변인 <게티즈버그에서의 연설>, 그리고 1865년 3월 4일 워싱턴에서 행한 <제2차 취임 연설> 등이다.

마크 드웨인 편은 여기에 소개하는 세 편의 아프터디너 스피치(식후 연설) 중 <뉴잉글랜드의 날씨>는 1876년 12월 22일 뉴욕의 뉴잉글랜드 모임의 만찬에 초대되어 들려준 것이며, <갓난애들>은 1879년 11월 13일 시카고의 테네시 군사령부 주최 만찬회에서 축배에 답하여 내놓은 즉흥 연설이다.
<여인이여, 그대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있기를!>도 역시 1882년 12월 22일 ‘뉴잉글랜드 모임’에 나가 여성을--아니 남성들을 감동시킨 명연설이다.
강민구
심리교육학 박사, 한양대 경영대학원, 월드크리스찬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동양학과, 얼굴경영학과를 수료했다.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소통에 대한 강의와 사람을 움직이는 마음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그 사람의 내면에 잠재하고 있는 마음이 현실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의 평온과 위로하고 배려하는 학문에 연구 노력하고 있다. 필자는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행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혜롭게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 심리적 연구를 하고 있으며, 마음공부 강사로 활동중이다.
심리상담사, 노인심리상담사, 미술심리상담사, 가족심리상담사, 부모교육상담사, 진로코칭상담사, 자기주도학습지도사, 심리분석사, 도형심리상담사, 이미지트레이너, 얼굴경영컨설턴트, 명리상담사, 풍수지리사 등 다수의 자격증이 있으며, 저서로는 『말의 위력』, 『무엇이 기본기인가』, 『나를 바꾸기 위해 지금 해야 할 일은?』, 『마흔에 만나는 9가지 질문』, 『나를 변화시키는 내면의 한마디』, 『스무살과 서른살 사이에』, 『가족을 변화시키는 56가지 이야기』, 『7 Word』 , 『부자학실천서』, 『짧은글 긴생각』, 『무엇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것인가』, 『최강 대처력』, 『서른 살이 되기 전에 알았으면 변했을 작은습관』, 『좋은글 필사노트』 등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