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0 0 0 0 0 2개월전 0

세계의 명연설-유럽편 3 _빅토로 위고, 도스토예프스키, 버나드 쇼

빅토르 위고 편은 볼테르 서거 백주기를 맞아 프랑스의 유명한 소설가이자 시인인 빅토르 마리 위고는, 프랑스의 위대한 풍자가요 극작가이자 철학자였던 문테르를 기리는 다음과 같은 웅변적인 조사를 읽었다. 도스토예프스키 편은 여기 소개하는 <푸시킨 론>은 푸시킨의 동상제막식도 겸한 이 기념제에서는 서구파(西歐派)를 대표하여 투르게네프가 강연을 하고 슬라브파(派)로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연설을 맡게 되었다. 먼저 투르게네프의 강연이 있었으나 그의 강연은 예상과는 달리 별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도스로예프스키의 강연은 유례없는 대성공을 거두어 투르게네프를 압도하고도 남았다. 그의 연설이 끝났을 때의 감격과 흥분은 그야말로 말로는 형용할 수 없을 정도였다. 서구파도 슬라브파도 모두가 그를 포옹하고 축하해..
빅토르 위고 편은 볼테르 서거 백주기를 맞아 프랑스의 유명한 소설가이자 시인인 빅토르 마리 위고는, 프랑스의 위대한 풍자가요 극작가이자 철학자였던 문테르를 기리는 다음과 같은 웅변적인 조사를 읽었다.

도스토예프스키 편은 여기 소개하는 <푸시킨 론>은 푸시킨의 동상제막식도 겸한 이 기념제에서는 서구파(西歐派)를 대표하여 투르게네프가 강연을 하고 슬라브파(派)로는 도스토예프스키가 연설을 맡게 되었다. 먼저 투르게네프의 강연이 있었으나 그의 강연은 예상과는 달리 별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도스로예프스키의 강연은 유례없는 대성공을 거두어 투르게네프를 압도하고도 남았다. 그의 연설이 끝났을 때의 감격과 흥분은 그야말로 말로는 형용할 수 없을 정도였다. 서구파도 슬라브파도 모두가 그를 포옹하고 축하해 주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푸시킨 론〉은 간결한 말 속에 푸시킨의 천재적 의의를 정확히 지적함과 동시에 그 국민적 특질과 세계성, 전인류성을 강조함으로써 지금까지 적대시하던 서구파와 슬라브주의자의 양 진영을 접근시켰다는 점에 크나큰 공적이 있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서거하기 바로 1년 전에 행한 이 강연은 그의 생애에서 가장 빛나고 영광된 순간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버나드 쇼 편은 아일랜드의 저명한 극작가•문필가인 조지 버나드 쇼가 1926년 7월 26일 7o회 생일을 맞은 날, 의회의 노동당 의원들은 제임스 램지 맥도날드 주재로 만찬을 베풀었다. 그때 정부는 당파적인 색채가 짙어질 것을 염려하여 주빈인 쇼 옹의 연설을 라디오로 중계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것은 오히려 이 아일랜드의 재치에 넘친 풍자가로 하여금 정부와 검열을 독특한 스타일로 공격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
강민구
심리교육학 박사, 한양대 경영대학원, 월드크리스찬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동양학과, 얼굴경영학과를 수료했다.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사람과 사람사이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소통에 대한 강의와 사람을 움직이는 마음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그 사람의 내면에 잠재하고 있는 마음이 현실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마음의 평온과 위로하고 배려하는 학문에 연구 노력하고 있다. 필자는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행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혜롭게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 심리적 연구를 하고 있으며, 마음공부 강사로 활동중이다.
심리상담사, 노인심리상담사, 미술심리상담사, 가족심리상담사, 부모교육상담사, 진로코칭상담사, 자기주도학습지도사, 심리분석사, 도형심리상담사, 이미지트레이너, 얼굴경영컨설턴트, 명리상담사, 풍수지리사 등 다수의 자격증이 있으며, 저서로는 『말의 위력』, 『무엇이 기본기인가』, 『나를 바꾸기 위해 지금 해야 할 일은?』, 『마흔에 만나는 9가지 질문』, 『나를 변화시키는 내면의 한마디』, 『스무살과 서른살 사이에』, 『가족을 변화시키는 56가지 이야기』, 『7 Word』 , 『부자학실천서』, 『짧은글 긴생각』, 『무엇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것인가』, 『최강 대처력』, 『서른 살이 되기 전에 알았으면 변했을 작은습관』, 『좋은글 필사노트』 등이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