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002

간(肝)의 모든 것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41 6 0 26 2023-07-22
간의 중요성은 옛날 이야기나 우리가 사용하는 말에도 흔히 비유되어 나타난다. 별주부전에서 용왕이 만병통치약으로 토끼의 간을 탐하다가 실패하었다든지, 엉뚱하게 비정상적인 행동을 할 때 “간이 부었다”고 하며, 크게 놀랐을 때 “간이 콩알만 해졌다”는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그만큼 간은 우리 건강에 중요하고 이상이 생기면 그 영향이 큰 것임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간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자.

성병과 성인(性因)질환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14 11 0 18 2023-06-13
성병이란 성교에 의해 감염되는 전염성 질환을 말한다. 성병이 다른 전염성 세균질환과 구별되는 점은 성병의 원인이 대부분 불결하거나 부도덕한 성행위에 있으며 성병에 의해 일어나는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당사자는 물론 그 배우자나 후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굳이 윤리성이나 도덕성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각종 항생제나 화학요법제가 남용 또는 오용되고 있어 이들 약제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되고 있으며 영상매체를 포함한 매스콤의 성적 자극, 성교형태나 성습관의 변화, 성활동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이들 성병의 원인균과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감염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역과 볼거리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37 17 0 16 2023-06-15
홍역은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점막(粘膜)에 염증이 생기고 피부에 열꽃(발진)이 생기는 전염력이 대단히 강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홍역에 걸리면 합병증으로 폐염이 생기거나 뇌염에 걸려 사망하거나 치유되더라도 정신박약아가 되는 수가 있다. 또 홍역 후에 결핵에 걸리기 쉽고 결핵에 이미 걸려 있는 아이는 이것으로 악화되기 쉽다. 볼거리(流行性耳下腺炎)는 침이 나오는 샘 특히 귀밑에 있는 침샘(타액선)이 부어오르고 아프며 열이 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항문출혈과 항문질환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35 3 0 19 2023-06-15
항문은 인간이 태어나서부터 한평생을 매일 노폐물 배설에 사용하여야 하는 주요 기본 기관으로서 이 부위에 어떤 질환이 발생하면 극히 예민한 반응을 보여 손가락 끝부위에서처럼 대단한 통증이 발발하는 곳이다. 배변을 잘 하지 못하는 것처럼 불편한 것이 없고 배변을 잘 하지 못하면 헛배가 부른 것같은 복부 팽만감, 불편감, 심하면 배가 아프고 두통이 생김은 물론 심지어는 혈압이 떨어지는 쇼크까지도 발생하는 병발증으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시원한 배변은 그만큼 기분을 상쾌히 할 수가 있고 배변 곤란증은 겪어보지 않고선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한 것이다.

스포츠와 건강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57 8 0 12 2023-06-15
우리의 인체는 새로운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오래된 찌꺼기를 내보내는 활발한 신진대사 과정을 유지하지 못하면 조직 장기는 퇴화하게 되므로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요즘들어 이른 아침에 공원이나 운동장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나와 각종 운동을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참으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우리 모두 운동을 하여 젊고 활기찬 인생항로를 개척하고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꾸어 나가도록 노력하자!

임신과 출산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60 4 0 21 2023-06-15
임신을 하게 되면 여러 가지 복잡한 번화가 몸 속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육체적 변화는 정신적인 면에 영향을 미쳐 정신적인 변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들 중에는 임신 초기부터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도 있고 임신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나타나는 것도 있으며 임산부가 전혀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작은 신체 기능상의 변화도 있다. 그 중에는 임신 중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원인이 약간 밝혀저 있거나 거의 밝혀지지 않은 부분도 있어 의사들도 다 파악하지 못한 부분도 있다. 이처럼 임신 중의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임산부마다 개인차가 있고, 같은 임산부라도 임신 시기 또는 출산 시기마다 다른 인화들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신경통 무엇이 진실인가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69 7 0 18 2023-04-02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니고 어디 다친데도 없는데 팔, 다리, 허리 등 온몸이 쑤시고 아플 때는 흔히 신경통에 걸린게 아닌가, 신경통은 잘 낫지 않는다든데 하고 두려움에 빠지고 의기소침해져 생활의욕마지 잃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주위에 비슷한 증상으로 고생하는 환자가 있는 경우 그 공포심은 더욱 심해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신경통”이란 어떤 질환 자체가 아니고 여러 질환의 한 증상일 뿐이다. 신경통을 일으키는 질환들은 장기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으나 적당한 치료와 시간 경과에 따라 대부분 소멸된다. 따라서 신경통은 치료불능이고 결국 불구가 된다는 잘못된 통념에서 벗어나 꾸준하고 적합한 치료를 계속한다면 고통의 정도와 기간을 줄여 마침내 고통에서 해방될..

소화불량_소화불량은 왜 중요한가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56 16 0 24 2023-04-03
우리들은 일상 대화에서 “저는 소화불량이 있어 음식을 조심하고 있습니다” “누구는 소화불량으로 고생하고 있다” 또는 “오늘 먹은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다”라는 식의 소화불량이라는 단어를 듣거나 자신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화불량이라는 말을 그저 막연히 배(복부)가 불편할 때 사용하고 있을뿐 참 뜻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한글 사전을 보면 “소화기(消化器)에 탈이 생겨 먹은 음식물이 잘 삭지 않음”이라고 기술되어 있고, 의학사전에는 “소화의 기능이나 힘이 없어진 상태”라고만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들이 소화불량이라고 느끼는 상태는 여러가지 질환에서 일어날 수 있고 또 이 중에는 인간의 생명을 위험하게 하는 것들도 있기 때문에 그 원인이 무엇..

급성편도선염과 급성 기관지염(환절기에 오는 병)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39 11 0 10 2023-04-03
환절기는 흔히 건강을 해치기 쉬운 때이다. 이것은 기온의 변화에 사람의 몸이 곧바로 적응되지 못하기 때문이고, 또한 작은 피로나 가벼운 영양부족이 모두 병에 대한 저항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오늘날 산업화로 사회가 혼잡해졌고 공해에 시달리는 도시인들은 환절기에 한 두 번 정도 열병을 치르곤 한다. 환절기에 흔한 질병은 설사, 복통 같은 소화기 질환과, 감기,편도선염이나 급성 기관지염같은 호흡기 질환이 있다. 우리 주위에는 여러가지 유해물질이 있으며 세균이나 자극성 물질에 계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세균)은 먼저 편도선이나 기관지에서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편도선염이나 기관지염은 대부분 가벼운 질병이고 잘 낫는 병이지만 발병초기에 잘 치료하지 않으면 여..

치과질환과 상식

생활건강의학연구회 | 북아띠 | 1,000원 구매
0 0 169 7 0 24 2023-04-03
치아는 심장이나 위•장과 같이 신체의 중요한 기관의 하나이다. 그러나 타 기관과 같이 수가 단일하지 않고, 어린아이는 20개, 성인은 28〜32개 이기 때문에 치아 한개 쯤 이야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치아 하나 하나 전부가 각기 맡은 임무가 다르므로 전부가 완전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구강내의 가장 흔한 질환은 크게 나누어서 충치(치아우식증)와 풍치(치주병)인데 대부분 이 두 질환이 치아상실의 원인이 된다. 이 두 질환중 대개의 경우, 어린이에게는 치아우식증이 많고 성인에게는 치주병이 많아 노인이 되면 치아가 없는 무치악(無齒顎) 할아버지가 된다. 이같은 무치악 할아버시는 을식을 적당히 씹기 때문에 위장병을 얻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써 필요한 영양..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